K-BPI 종합지수

한국산업의 브랜드 파워(K-BPI)
조사 결과

산업별 K-BPI 총점 추이 분석

순위별 변화 추이

1위 브랜드

2위 브랜드

3위 브랜드

소비재평균

산업별
브랜드 경쟁력 및
경쟁강도 추이 분석

경쟁력 & 경쟁강도 추이

경쟁력 추이

경쟁강도 추이

브랜드 경쟁력 &
경쟁강도 추이 요약

브랜드 경쟁력 & 경쟁강도 추이 요약
구분 경쟁력 추이 경쟁강도 추이
소비재 경쟁력 소폭 하락 (’24년 대비 -3.3점) 브랜드간 격차 소폭 증가 ▶ 경쟁 강도 다소 하락 (’24년 대비 -0.6%)
내구재 경쟁력 소폭 상승 (’24년 대비 2.5점) 브랜드간 격차 축소 ▶ 경쟁강도 심화 (’24년 대비 3.1%)
서비스재 경쟁력 상승 (’24년 대비 +12.7점) 브랜드간 격차 축소 ▶ 경쟁강도 심화 (’24년 대비 1.5%)

• Analysis. 1 : 내구재와 서비스재의 경우 전반적인 브랜드 경쟁력(K-BPI 총점평균)은 상승하였고, 소비재의 경우 소폭 하락함
• Analysis. 2 : 브랜드간 경쟁강도는 내구재와 서비스재에서 심화되었으며, 소비재에서 하락함
• Analysis. 3 : 전반적으로 작년과 동일한 경쟁강도 추이를 나타난 가운데,
소비재(12.7%)>서비스재(10.5%)>내구재(8.0%) 순으로 경쟁강도를 보이고 있음

역전 및 박빙 추세 분석

2006 ~ 2024년 역전 및 박빙 산업군 비율

역전비율

박빙비율

2025년
2위 vs 3위
박빙 비율
Total : 52.2%

’25년 : 소비재(56.5%), 내구재(38.9%), 서비스재(55.8%)

[연도별 2위 Vs.3위 박빙비율]
‘21년 : 46.8% ’22년 : 53.7% ’23년 : 54.9%  ’24년 : 50.2%

• 역전 비율 : 작년도 1위 브랜드가 후순위 브랜드에게 역전을 당한 산업군의 비율
• 박빙 비율 : 1위-2위 브랜드의 격차가 100점대 이내로서 언제든지 역전될 수 있는 산업군 비율
• 작년 대비 역전 비율이 감소(8.9%)하였으며, '19년 이후 가장 낮은 역전 비율이 발생함
• 산업 내 1~2위간 박빙비율은 38.8%로 작년 대비 소폭 감소함
• 2~3위간 박빙비율은(52.2%) 작년 대비 증가하며 2, 3위 경쟁이 심화됨

산업군 수(개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