K-BPI Confidence
각 산업 및 기업이
브랜드 파워를
육성, 관리할 수 있도록
브랜드 경영의
체계적이고 전략적인
방안을 제시합니다
기업과 소비자가
모두 신뢰하는
대한민국 대표
브랜드 진단평가 제도
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(K-BPI)는 우리나라 산업의 질적 성장을 유도하고 각 산업 또는 기업들이 브랜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1999년 KMAC에서 국내 최초로 개발한 브랜드파워 측정 모델입니다.
K-BPI는 전 세계의 다양한 브랜드 평가 제도 중 가장 공신력 있고
신뢰성 있는 브랜드 평가 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.
국내 최초로 브랜드 진단평가
모델
개발 및 공식 발표
1999년 체계화된 브랜드 관리 모델에 의거하여
제1차 조사 시행
소비자가 가장 신뢰하는
대한민국 대표
브랜드 진단평가 제도
전국 15~60세 남녀를 대상으로 1:1 설문조사를 진행해 조사결과의 대표성과 신뢰성을 확보
브랜드 경영과 브랜드 중심
문화의
전파자로서의 역할
브랜드의 역할 및 관리 중요성에 대해 산업계와
사회 전반에 지속적으로 이슈 발신
1위 선정 사실을
소비자 커뮤니케이션에 활용하여,
대외적으로 브랜드 가치와 기업 위상 강화
조사 결과를 바탕으로
브랜드 경쟁력을 진단하고,
브랜드 마케팅 전략 수립 및 실행방안 설계
1999년 시행된
국내 최초 산업별
브랜드 경쟁력 조사
K-BPI는 브랜드에 대한 개념이 희박했던 1999년 국내 최초로 산업별 브랜드경쟁력을 조사 발표하여
소비자에게는 올바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권익 보호와 삶의 질 향상을,
기업에게는 브랜드 경영을 도입하여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도록 선구자 역할을 하였습니다.
한국을 넘어
세계에서 인정받는
높은 수준의
브랜드 진단평가제도
K-BPI는 조사 전문성, 엄격한 실사품질 관리, 누적 실증 Data, 수준 높은 브랜드 진단평가제도로서
국내는 물론 해외와 민간 및 공공 모두에서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.
연구 도서
최신 연구 결과
2020~
마케팅 커뮤니케이션과 유통 접근성이 게임 브랜드의 자산가치에 미치는 효과. 한국게임학회 논문지, 21(6), 3-12.
이형일, 김지헌. (2021)
Effects of marketing decisions on Brand Equity and Franchise Performance. Sustainability, 13(6), 3391.
Lee, E., Kim, J.-H., & Rhee, C. S. (2021)
2010~2020
기업의 마이크로 블로그 활동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:
트위터와 K-BPI를 중심으로. 서비스경영학회지, 20(2), 163-183.
전주언, 김미리. (2019)
수도권 초대형병원의 브랜드 가치와 시장점유율 분석.
한국병원경영학회지, 23(1), 41-50.
강한섬, 박소윤, 김효정, 김영훈. (2018)
가맹본부 특성이 브랜드 인지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.
프랜차이징저널, 3(1), 22-54.
성백순, 김주현. (2017)
CSR, 소비자기반 브랜드자산, 기업 재무성과 관계.
마케팅연구,32(2),27-54.
유재미.(2017)
The Impacts of Changes in Brand Attributes on Financial Market Valuation of Korean Firms.ASIA MARKETING JOURNAL,16(1),169-193.
Hee Tae Lee, Byung Do Kim.(2014)
로고타입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. 디자인지식저널, 27, 67-77.
김영석. (2013)
서비스 브랜드 인지도와 선호도 간의 관계 : 종단분석.
서비스마케팅저널, 6(1), 59-65.
하홍열, 김해룡, 여준상, 윤승재. (2013)
한국 기업 브랜드 가치평가의 새로운 이해: K-BPI 활용.
고객만족경영연구, 18(1), 199-216.
하홍열, 이기동 and 방지현. (2016)
2000-2010
K-BPI에 조사된 스포츠 제품의 마케팅 활동, 브랜드자산 및
고객자산 간의 관계.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, 13(4), 43-56.
최형원, 정경회, 유광길. (2008)
The Dynamic Effects of Customer Satisfaction on Firm’s Profitability and Value. 아시아마케팅저널, 2(2), 105-112.
Yi, Youjae, Cha, Kyoung Cheon and Lee, Cheonglim. (2008)
K-BPI 조사 현황
K-BPI는 1999년 제조업 중심의 79개 산업군으로 조사를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기까지
우리나라 산업의 질적 성장을 유도하고 브랜드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.
소비재
내구재
서비스재
Special Issue 부문
총계
[산업군 수]
년도 | 99 | 00 | 01 | 02 | 03 | 04 | 05 | 06 | 07 | 08 | 0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소비재 | 35 | 53 | 64 | 68 | 95 | 99 | 81 | 77 | 76 | 75 | 79 | 80 | 80 | 72 | 82 | 79 | 80 | 81 | 87 | 86 | 86 | 86 | 90 | 91 | 92 | 92 | 92 |
내구재 | 25 | 33 | 34 | 35 | 52 | 46 | 41 | 39 | 41 | 42 | 44 | 45 | 46 | 44 | 44 | 44 | 43 | 45 | 48 | 51 | 50 | 46 | 50 | 50 | 52 | 55 | 54 |
서비스재 | 19 | 25 | 28 | 30 | 53 | 48 | 42 | 40 | 43 | 62 | 69 | 71 | 70 | 72 | 74 | 76 | 81 | 83 | 83 | 85 | 87 | 97 | 89 | 84 | 87 | 90 | 90 |
Special Issue 부문 |
0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0 | 1 | 1 | 2 | 2 | 2 | 1 | 2 | 2 | 2 | 2 | 2 | 2 | 2 |
총계 | 79 | 111 | 126 | 133 | 200 | 193 | 164 | 156 | 160 | 179 | 192 | 196 | 196 | 188 | 201 | 200 | 206 | 211 | 220 | 223 | 225 | 231 | 231 | 227 | 233 | 239 | 238 |